전체 글74 유방암 병기 및 유방암 타입 이해 유방암의 발병 이유40대에 들어선 여성이라면 6개월마다 정기검진을 꼭 해야 한다. 특히 유방촬영술로 발견되지 않는 경유가 많으므로 유방초음파를 받아야한다. 유방암의 발병 원인은 여러 가지 경로가 있을 것이다. 유전적인 요소로 발생한 유방암에 관한 고찰보다는 생활습관과 식이습관의 변화를 발생의 원인으로 보고 그 해결책을 찾아야한다. 서구화된 식생활, 인스턴트와 외식으로 인한 식습관, 운동부족, 스트레스와 비만 등을 원인으로 제시한다. 전 세계 유방암 발생률 비교표를 살표보면, 상위 10개국의 발생률은 상당히 높다. 유럽과 미국, 지중해 건강식으로 유명한 이탈리아도 높았다. 이 나라 사람들이 매일 먹는 식단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와 다른 주식으로 밀, 우유, 치즈와 유제품을 매 식단에 포함한다. 반.. 2024. 10. 4. 위의 저산증 해결 및 암세포 알칼리성으로 사멸 우리 몸의 적정 pH는 얼마인가?우리 몸은 약알카리성이 최고의 건강 균형 상태이다. 건강할 때 혈액, 척수, 침의 pH는 7.4에 해당한다. 암환자들의 소변 pH는 4.5~5.5를 나타낸다. 말기일수록 몸의 산성화는 더욱 심해진다. pH를 측정하기 좋은 시간은 아침 일찍 공복 상태다. 입에 고여 있는 침을 모아서 리트머스 시험지에 측정한다. 또는 소변의 농도를 리트머스 시험지로 측정할 수 있다. 간단히 리트머스 시험지로 소변만 검사해도 내 몸의 균형상태를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떤 조건들이 체액을 산성화 시키는 것일까? 가공식품과 첨가물이 있는 음식은 몸을 산성화 한다. 설탕, 튀김 음식들도 세포 내 산소 공급을 막기 때문에 줄이거나 끊어야 한다. 대표적인 산성 식품은 버터, 우유, 돼지고기, 쇠고기 .. 2024. 10. 3. 만성 염증 일으키는 활성산소와 항산화제 활성산소우리 몸의 에너지 대사 과정에서 ATP와 함께 활성산소가 만들어진다. 모든 전자는 짝이 있을 때 안정화된다. 짝이 없는 상태인 활성산소는 안정적인 분자들을 공격하여 전자를 빼앗아 간다. 건강한 세포가 전자를 빼앗기는 작용을 산화 과정이라고 부른다. 공격받은 정상세포는 짝을 빼앗겨 자신이 활성산소가 되어버린다. 이런 반응이 연쇄적으로 세포에 일어나면 혼란이 생긴다. 활성산소가 DNA와 반응하면 DNA 기능이 변화되어 암을 만든다. 활성산소가 단백질과 만나서 뇌에 쌓이면 치매를 유발한다. 활성산소가 지방과 만나면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킨다. 이렇게 활성산소는 전신의 조직을 손상하여 질병을 유발한다. 암세포는 활성산소의 지속적인 공격을 받고 손상되어 변형된 세포다. 활성산소가 세포의 전자를 빼앗기지 않게.. 2024. 10. 3. 면역력 80% 장에서 결정, 장내 세균 불균형 해결 에너지를 내려면 소장을 챙기자히포크라테스는 '모든 질병은 장에서부터 시작된다'라고 한다. 최근 연구에서는 우리 몸의 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에 관한 새로운 관점들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질병의 90%가 장내의 미생물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한다. 장내 세균이 유전자 발현의 스위치를 켜거나 끌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 몸은 60조 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는데, 인간의 장에는 약 100조의 세균이 있다. 장내 세균은 우리 몸의 세포보다 2배 정도가 많다. 장은 무게로 따지면 1~2kg이다. 미국의 신경 생리학자 마이클 거슨은 장을 제2의 뇌라고 명명했고 요즘은 장내 미생물을 제6의 장기로 보기도 한다. 그만큼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현대인은 병원에서 검사해도 원인을 알 수 없는 증상들로 고통을 받는다... 2024. 10. 2. 이전 1 ··· 4 5 6 7 8 9 10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