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4

단백질과 필수아미노산, 콩, 맥주효모, 달걀, 청국장, 두부 단백질과 필수아미노산 100% 채식은 쉽게 필수아미노산 부족이 올 수 있다. 병기가 높은 암 환자들은 혈액검사를 해보면 총 단백질, 알부민, 콜레스테롤이 대부분 정상 이하다. 또한 빈혈도 많고 보통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수도 적다. 암이 진행되면서 영양장애가 초래된다. 필수아미노산은 고기와 콩에 풍부하다. 고기는 열량이 너무 높고 지방이 많아 부담이 크다. 암환자에게는 좋지 않다. 고기와 콩 단백질은 분자량이 무척 커서 흡수에 어려움이 있다. 흡수되지 않는 단백질은 대장의 유해균에 의해 부패하고 가스를 배출하여 독소를 내보낸다. 단백질 섭취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얼마만큼 섭취해야 하는지가 관건이다. 동물성 단백질의 과잉 섭취는 자가 면역질환, 골다공증, 암, 비만 등의 질환을 유발한다, 또한 신체의.. 2024. 10. 10.
체온이 1도 올라가면 면역력 50% 상승, 저체온과 스트레스 저체온과 스트레스스트레스에 의한 체온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철망에 가둔 쥐와 보통 상태의 쥐를 관찰한 연구가 있다. 스트레스를 받은 쥐는 체온이 떨어졌고, 과립구 즉 염증 물질이 많아졌다. 체온을 올리려면 제일 먼저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하다. 스트레스 환경에서는 코르티솔  호르몬이 분비되고 우리 몸은 체온이 떨어지는 것을 잘 감지하지 못한다. 우리나라에서 40,50대의 암환자가 급증하는 원인은 이 연령대의 업무가 과중하기 때문이다. 집과 직장에서 감당해야 할 일과 인간관계가 가장 복잡한 시기이기도 하다. 암에 걸린 사람들은 몇 년 동안 수면 부족, 고민, 과중한 업무, 인간관계의 어려움과 갈등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누적된 경우가 많다. 이런 상태에서 항암, 방사, 수술을 받으면 신체에 스트레스 독소를 더 얹.. 2024. 10. 7.
풍욕과 림프순환 운동 운동의 필요성운동을 시작하면 심박수가 올라가고 혈액이 돈다. 이때 백혈구가 대규모로 모여 있던 조직에서 빠져나와 혈류로 들어간다. 운동이 끝나고 몇 시간 이내에 백혈구가 급격히 감소한다. 연구에 의하면 면역세포들은 운동 후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다른 부위로 이동한다. 면역세포는 장이나 폐처럼 면역적 도움이 필요한 부위로 이동한다. 다른 면역세포들은 골수로 흘러가 줄기세포들을 자극하여 새로운 면역세포를 만들게 한다. 운동으로 준비된 면역세포는 몸의 다른 부위에서 감염을 찾아 열심히 일하는 조직으로 옮겨가 근육을 회복시킨다. 코펜하겐 의과대학 연구팀이 운동과 항암효과를 연구한 결과는 항암 중의 운동이 왜 필수인지를 알려준다. 연구팀은 피부암, 폐암, 간암을 유발한 생쥐를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은 매일 4.. 2024. 10. 6.
혈액검사 백혈구, 호중구, 림프구 수치를 체크 혈액검사지 이해항암제를 투여할 때 기준이 되는 것은 백혈구와 림프구의 개수이다. 그 기준이 되는 수치는 다음과 같다.백혈구 : 혈액 1 ㎣ 당  3,000~4,000 개 이상림프구 : 혈액 1 ㎣ 당  1,000 개 이상이것이 항암제를 투여할 수 있는 수치다. 매번 혈액검사에서 이 2가지 수치를 염두에 두고 백혈구 수치가 올라가도록 식이요법에 신경을 써야 한다. 림프구가 1,000 개 이하로 떨어진다면 외부에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퇴치할 면역력이 바닥인 상태이다. 그렇다면 가장 이상적인 백혈구 내의 과립구와 림프구의 비율은 얼마일까? 자율신경이 가장 균형이 잡힌 경우의 백혈구 수는 혈액 1 ㎣ 당 5,000~8,000이다. 좀 더 범위를 좁힌다면 5,000~6,000이다. 백혈구 수치가 높게 나오는 의미는.. 2024.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