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과 필수아미노산, 콩, 맥주효모, 달걀, 청국장, 두부
단백질과 필수아미노산 100% 채식은 쉽게 필수아미노산 부족이 올 수 있다. 병기가 높은 암 환자들은 혈액검사를 해보면 총 단백질, 알부민, 콜레스테롤이 대부분 정상 이하다. 또한 빈혈도 많고 보통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수도 적다. 암이 진행되면서 영양장애가 초래된다. 필수아미노산은 고기와 콩에 풍부하다. 고기는 열량이 너무 높고 지방이 많아 부담이 크다. 암환자에게는 좋지 않다. 고기와 콩 단백질은 분자량이 무척 커서 흡수에 어려움이 있다. 흡수되지 않는 단백질은 대장의 유해균에 의해 부패하고 가스를 배출하여 독소를 내보낸다. 단백질 섭취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얼마만큼 섭취해야 하는지가 관건이다. 동물성 단백질의 과잉 섭취는 자가 면역질환, 골다공증, 암, 비만 등의 질환을 유발한다, 또한 신체의..
2024. 10. 10.
혈액검사 백혈구, 호중구, 림프구 수치를 체크
혈액검사지 이해항암제를 투여할 때 기준이 되는 것은 백혈구와 림프구의 개수이다. 그 기준이 되는 수치는 다음과 같다.백혈구 : 혈액 1 ㎣ 당 3,000~4,000 개 이상림프구 : 혈액 1 ㎣ 당 1,000 개 이상이것이 항암제를 투여할 수 있는 수치다. 매번 혈액검사에서 이 2가지 수치를 염두에 두고 백혈구 수치가 올라가도록 식이요법에 신경을 써야 한다. 림프구가 1,000 개 이하로 떨어진다면 외부에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퇴치할 면역력이 바닥인 상태이다. 그렇다면 가장 이상적인 백혈구 내의 과립구와 림프구의 비율은 얼마일까? 자율신경이 가장 균형이 잡힌 경우의 백혈구 수는 혈액 1 ㎣ 당 5,000~8,000이다. 좀 더 범위를 좁힌다면 5,000~6,000이다. 백혈구 수치가 높게 나오는 의미는..
2024.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