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4

진짜음식 자연식물식의 채소,과일로 식단 구성 자연식물식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우리 몸의 장내 미생물군(마이크로바이옴)의 조성은 사람의 지문처럼 다르다고 한다. 장내 미생물의 먹이가 되는 식이섬유는 '제6의 영양소'라 부를 정도로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자연식물식은 어떤 식이요법보다 장내 미생물의 조성을 다양화하고 그 숫자를 늘리는 식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콜린 캠벨 박사가 처음 제안한 식이요법인 WFPB(whole food plant-based diet)는 자연식물식으로 번역되었다. 자연식물식은 최대한 가공하지 않은 통곡물, 채소와 과일을 그대로 섭취하는 식단이다. 가공식품, 동물성식품, 생선, 달걀, 설탕, 밀가루와 식용유를 제한한다. 자연식물은 야채, 과일을 포함하여 탄수화물의 양을 80%까지 허용하고 있다. 지방과 단백질은 10%씩 차지.. 2024. 11. 10.
인슐린 저항성 및 당독소 낮추는 복합탄수화물 SCFA 인슐린 저항성을 낮추는 식사최근에 유행하는 식이요법이 있다. 저탄고지 측 저탄수화물과 고지방식을 해서 몸에 케톤체를 만들어 체중을 감량하는 방법이다. 또한 암환자에게도 케톤 식이요법을 사용해서 재발을 억제하기도 한다. 암세포는 세포 내 환경이 저산소일 때 혐기적 에너지 대사를 통해 에너지를 만든다. 정상세포가 1 분자의 포도당으로 36 ATP를 만들 때 암세포는 2 ATP를 생산한다. 암세포는 ATP 생성량이 적으므로 이것에 대한 보완으로 세포막에 '포도당 수송체'가 정상세포보다 3~8배가 많다. PET 검사는 암세포가 탄수화물을 많이 흡수한 곳에서 빛이 나는 것으로써 전이 여부를 확인한다. 인슐린은 섭취한 탄수화물이 세포 안에서 에너지로 변환되는데 필요한다. 우리 몸이 '인슐린에 저항성을 가졌다.'라는.. 2024. 11. 7.
표준치료 후 식단배제 식품(우유와유제품, 설탕과 과당, 동물성단백질) 우유와 유제품유방암 환우들이 우유, 유제품을 매일 섭취했던 이유 중 하나는 양질의 단백질과 칼슘을 공급받기 위해서이다. 보통의 단백질은 열에 응고되고, 우유의 카제인 단백질은 산에 의해서 응고된다. 카제인이 위에서 위산으로 응고되면 소화가 되지 않는다. 영양학자인 토머스 캠벨은 암에 대한 가장 강력한 족진체가 우유 단백질이라고 밝혔다. 소화되지 않은 카제인은 알레르기를 일으킨다. 이로 인해 몸에 만성 염증 상태가 되고, 당뇨병, 암, 골다공증, 관절 통증을 일으킨다. 우유에는 성장호르몬인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가 들어있는 것이 문제다. 이것은 세포를 증식하는 인자인데,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한다. 한국 여성의 유방암 발생률이 증가하는 이유는 우유와 유제품이 포함된 식단 때문이다. 옥스퍼드대학의 연구에 의하면.. 2024. 11. 1.
저온 압착 오메가3 지방산 보충하라 산화, 산패되지 않은 식물성 오메가오메가 3 지방산은 식단에 생선과 견과류, 식물성 기름을 포함하고, 품질이 좋은 보충제로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우리 몸의 필수 영양소의 하나는 지방, 곧 기름 성분이다. 지방은 세포막과 호르몬의 재료가 된다. 지방은 꼭 필요하지만 산화, 산패도지기 쉬운 특성 때문에 잘못된 지방 섭취는 인체에 독소로 작용한다. 나쁜 기름을 계속 섭취하면 세포막이 산화되고 산소와 영양소가 세포에 공급되지 않는다. 산화된 기름 섭취가 암과 같은 만성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좋은 기름이란 산화되지 않은 기름인데, 주로 식물의 햇 종자에서 얻어진다. 15~25도의 상온에서 열을 가하지 않는 공법으로 추출한 기름은 우리 몸에서 좋은 기름으로 작용한다. 좋은 기름을 섭취하면 세포막이 새.. 2024. 10. 30.